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코스피 3% 급락! 공매도 재개 첫날, 외국인 1.5조 매도 폭탄 이유는?

by Onestepdiary 2025. 4. 1.

“공매도 전면 재개, 외국인 1조5755억 매도, 코스피 3% 하락…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

31일, 3시 22분 삼성전자(우) 정리 매매를 보고 있었는데 18.3%가 떨어진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토록 물론 마지막은 4.84% 하락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무슨 일 있는지 확인해보니, 공매도가 전면 재개된 첫날이며, 코스피는 무려 3% 급락하며 2,480선으로 후퇴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는 단 하루 만에 1조5000억 원 넘게 매도하며 시장 분위기를 급냉 시켰습니다. 여기에 환율까지 1,472.9원으로 치솟으며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환율 때문인지 애드센스 수익도 좋지 않네요.

 

 

 

코스피 3% 급락! 공매도 재개 첫날, 외국인 1.5조 매도 폭탄 이유는?

 

▣ 목록 (LIST) ▣

 

1. 공매도 전면 재개, 왜 지금일까?

2. 외국인의 1.5조 매도, 무엇을 뜻하나?

3. 코스피·코스닥, 어디까지 빠졌나?

4. 환율 1472.9원, 금융위기 이후 최고

5. 오늘 하락의 원인은?

6. 오늘의 증시 요약

 

 


 

1. 공매도 전면 재개, 왜 지금일까?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주식을 빌려서 팔고, 나중에 되사는 방식의 투자입니다.

변동성이 큰 시장에선 투자 심리를 크게 위축시키는 요인이죠.

1년 5개월간 중단되었던 공매도가 31일부터 전면 재개되면서 시장에는 불확실성이 급증했습니다.

특히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대형주 중심의 공매도 타깃 우려가 커졌고, 이에 따른 매도 심리가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2. 외국인의 1.5조 매도, 무엇을 뜻하나?

외국인 투자자는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무려 1조5755억 원 규모의 순매도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개인은 7895억 원, 기관은 6672억 원어치를 순매수하며 방어에 나섰습니다.

이 같은 매도세는 단순한 이익 실현이 아닌, 공매도 환경 재정비에 따른 포지션 변화로 해석됩니다.

반도체주 중심으로 강한 매물이 출회되며 시장 전반에 하방 압력이 강하게 작용했습니다.

 

 

3. 코스피·코스닥, 어디까지 빠졌나?

  • 코스피: 전 거래일 대비 76.86포인트(3%) 하락한 2481.12에 마감
  • 코스닥: 20.91포인트(3.01%) 하락한 672.85에 종료

 

 

 

삼성전자 -3.99%, SK하이닉스 -4.07%, LG에너지솔루션 -6%, 셀트리온 -4%대 하락하며 대형주의 동반 급락이 시장에 충격을 줬습니다.

반면, 방산주인 현대로템 +3%, LIG넥스원 +1%대 상승세를 보이며 일부 테마주의 선전도 확인되었습니다.

 

 

4. 환율 1472.9원, 금융위기 이후 최고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6.4원 상승한 1,472.9원으로 마감하며, 이는 2009년 3월 13일 이후 15년 9개월 만의 최고치입니다.

환율 급등은 외국인 자금 이탈 우려를 증폭시키며, 수입 원가 상승 → 기업 실적 악화 → 코스피 하락의 연쇄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수출 중심 산업에는 이중 부담이 작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5. 오늘 하락의 원인은?

 

 (1)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관세 재도입 발언이 수출 의존 국가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

 (2) 미국 경기 침체 이슈

 (3) 무차별적인 외국인 매도세 집중

 (4) 다음 주 예정된 고용보고서, 파월 연준 의장 연설 등 대형 이벤트를 앞두고 단기 변동성은 지속될 전망입니다.

 

 

6. 오늘의 증시 요약

 

 

 

 

  • 공매도 재개로 인한 투자 심리 위축 → 대형주 중심 낙폭 확대
  • 외국인 대규모 매도 → 수급 불균형 심화
  • 환율 급등 → 금융시장 전반 불안 확대

 

 

 

 

✅ 마무리하며

오늘 하루 만에 벌어진 대형 이벤트가 내일은 반등 됐으면 좋겠네요!

공매도 환경, 외국인 수급, 환율 흐름 등 거시적 지표를 체크하며 투자 전략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변동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꾸준한 정보 확인과 차분한 대응이 중요한 시점이네요.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댓글